Skip to content
This repository was archived by the owner on Mar 18, 2024. It is now read-only.

[2023-07-09] jisu #81 #83

Merged
merged 1 commit into from
Aug 3, 2023
Merged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73 changes: 73 additions & 0 deletions Programmers - 문제풀이/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jisu.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73 @@
"""
1시간 정도 소요
[제한조건]
5 <= len(sequence) <= 1,000,000
1 <= sequence <= 1,000
5 <= k <= 1,000,000,000

[idea]
0, 1, 2, ... i 번째 원소부터 누적합을 구한 후, 누적합이 k인 경우 찾기
이 때 기본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누적합은 항상 증가하는 방향이다.
또한 오름차순인 것에 힌트, 누적합이 k인 경우를 찾을 때 이진 탐색을 활용할 수 있다.

[누적합 활용]
sequence의 각 원소를 해당 원소까지의 누적 합으로 업데이트 한 후, i번째 원소 전까지의 누적합을 빼어
i번째부터의 누적합을 활용할 수 있다.

[이진 탐색]
i번째 인덱스 부터의 인덱스를 활용할 수 있다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있음을 활용해 이진 탐색을 적용할 수 있다.
"""

def solution1(sequence : list, k : int) -> list: # 시간 초과 케이스 O(N * N/2)
nums : list = [0 for _ in range(len(sequence))]
interval = 999999
answer = None

for i in range(len(sequence)):
for j in range(i, len(sequence)):
nums[i] += sequence[j]
if nums[i] == k:
if j-i < interval:
answer = [i, j]
interval = j-i
if nums[i] > k:
break

return answer


def solution(sequence : list, k : int) -> list: # 이진 탐색을 적용, O(NlogN)

interval = 1000000 # 최대 interval은 1000000
answer = None

for i in range(1, len(sequence)):
sequence[i] += sequence[i-1]

for i in range(-1, len(sequence)): # i번쨰 부터의 누적합 활용

sub = 0 if i == -1 else sequence[i] # sub : i번째 이전까지의 누적합
start, end = 0, len(sequence)-1 # -1 : 0번째 이전에는 누적합이 없는 것에 대한 예외

while start < end: # 이진탐색으로 k 값을 가지는 인덱스 찾기
Copy link
Membe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누적합에 대한 접근이 너무 인상 깊어서 좋았습니다. 저도 비슷한 접근으로 접근하였으나 앞과 뒤를 나타내는 부분에서 투 포인터로 접근을 진행하였었습니다. 하지만 다음의 방식이 더 접근 방식이 한 눈에 다가와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고생하였습니다!

mid = (start + end) // 2 # 정확히는 처음으로 k 이상인 값을 가진 인덱스 찾기 (keyword : 파라메트릭 서치)
if sequence[mid] - sub >= k:
end = mid
else:
start = mid + 1

if sequence[start] - sub == k and (start - (i+1)) < interval: # 정답은 수열이 가장 짧아야하고, 짧은 것 중에는 먼저 나온 것임
answer = [i+1, start]
interval = start - (i+1)

return answer



case1 = [[1, 2, 3, 4, 5], 7]
case2 = [[1,1,1,2,3,4,5], 5]
case3 = [[2,2,2,2,2], 6]

print(solution(*case1))
print(solution(*case2))
print(solution(*case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