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Update README.md (JaeYeopHan#176)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OS 한글 오타 수정
  • Loading branch information
sj59228 authored Sep 26, 2021
1 parent f1ca0b7 commit b8e55b1
Showing 1 changed file with 2 additions and 2 deletions.
4 changes: 2 additions & 2 deletions OS/READM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421,7 +421,7 @@ Spin lock이라고 불리는 Semaphore 초기 버전에서 Critical Section 에
#### 가상 주소 공간

* 한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논리적인 모습을 가상메모리에 구현한 공간이다.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메모리 공간을 가상메모리에서 제공함으로서 현재 직접적으로 필요치 않은 메모리 공간은 실제 물리 메모리에 올리지 않는 것으로 물리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메모리 공간을 가상메모리에서 제공함으로써 현재 직접적으로 필요치 않은 메모리 공간은 실제 물리 메모리에 올리지 않는 것으로 물리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며 논리 메모리로 100KB 가 요구되었다고 하자.
하지만 실행까지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Heap영역, Stack 영역, 코드, 데이터)`의 합이 40KB 라면, 실제 물리 메모리에는 40KB 만 올라가 있고, 나머지 60KB 만큼은 필요시에 물리메모리에 요구한다고 이해할 수 있겠다.

Expand All @@ -444,7 +444,7 @@ Spin lock이라고 불리는 Semaphore 초기 버전에서 Critical Section 에
프로그램 실행 시작 시에 프로그램 전체를 디스크에서 물리 메모리에 적재하는 대신, 초기에 필요한 것들만 적재하는 전략을 `요구 페이징`이라 하며,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가상 메모리는 대개 [페이지](#paging페이징)로 관리된다.
요구 페이징을 사용하는 가상 메모리에서는 실행과정에서 필요해질 때 페이지들이 적재된다. **한 번도 접근되지 않은 페이지는 물리 메모리에 적재되지 않는다.**

프로세스 내의 개별 페이지들은 `페이저(pager)`에 의해 관리된다. 페이저는 프로세스 실행에 실제 필요한 페이지들만 메모리로 읽어 옮으로서, **사용되지 않을 페이지를 가져오는 시간낭비와 메모리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프로세스 내의 개별 페이지들은 `페이저(pager)`에 의해 관리된다. 페이저는 프로세스 실행에 실제 필요한 페이지들만 메모리로 읽어 옮으로써, **사용되지 않을 페이지를 가져오는 시간낭비와 메모리 낭비를 줄일 수 있다.**

#### Page fault trap(페이지 부재 트랩)

Expand Down

0 comments on commit b8e55b1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