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3
즐거운 유니티 C#~(기본)
kimhanui edited this page Aug 15, 2018
·
1 revision
프로그래머스 강좌 내용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1
명령어 끝엔 항상 ;(semicolon)
정수 - int
소수 - float (값 뒤에 f를 꼭 붙여준다)
문자열 - string (큰 따옴표를 꼭 붙여준다)
부울 - bool (true, false 두 값만 가질 수 있다. )
int age = 32; // =라는 기호는 32라는 값을 age라는 박스에 담는다걸 뜻함
float height = 176.5;
string name = "오영택";
int, float vs string 변수 연산은 다르다.
1 + 1 = 2;
1.5 + 1.5 = 3.0;
"1" + "1" = "11"; //문자열 붙여버리기!
int a = 2;
a++; //a값을 1 증가시킨다.
a--; //a값을 1 감소시킨다.
- 멤버 변수: 어떤 메소드에도 포함돼있지 않음 (class에 포함)
- 지역 변수: 메소드 안에 선언한 변수
public class Ball : MonoBehavior {
int count = 1; //멤버변수 선언
local++; // 이 경우엔 오류 뜸 "아직 본 적 없는 변수이기 때문"
// Start 메소드 생략
void Update () {
int local=0; //지역변수
Debug.Log(count); // 메소드 안에서 멤버 변수를 갖다 쓸 수 있다
count=count+1; // 실행시키면 count는 1,2,3...을 출력한다!
}
프로젝트 뷰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Create -> C# Script
2-1.Script 용어
-
class - 코드를 모아놓는 기본단위
(MonoBehaviour - 유니티에서 class를 만들면 기본적으로 적어줘야하는 코드 정도로 생각)- void Start () - 게임시작시 한번 실행
- void Update () - 매 프레임마다 실행
각각은 메소드라고 부름(Start Method, Update Method)
위 메소드는 유니티에서 직접 호출해주기 때문에 별도로 호출안해도 실행됨
But, 메소드를 새로 만들었을 땐 따로 호출해줘야한다.
스크립트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게임 오브젝트에 컴포넌트로 추가되어있어야 함..
-> 프로젝트 뷰- 스크립트 를 드래그해서 하이에라키 뷰- 오브젝트 에 적용
인스펙터 뷰에서 원하는 컴포넌트 설정버튼-> Edit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