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79fc09b

Browse files
harehahareha
andauthored
Docs: docs/api/ko/extras korean documents (mrdoob#21807)
* bufer_1 * core * buffergeometry * 0430 * 0504 * 0504 * api-core-korean * 0507 * 0511 Co-authored-by: hareha <maiel@naver.com>
1 parent 5f5e881 commit 79fc09b

24 files changed

+1605
-4
lines changed

docs/api/en/extras/curves/CubicBezierCurve3.html

Lines changed: 4 additions & 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51,16 +51,16 @@ <h3>[name]( [param:Vector3 v0], [param:Vector3 v1], [param:Vector3 v2], [param:V
5151
<h2>Properties</h2>
5252
<p>See the base [page:Curve] class for common properties.</p>
5353

54-
<h3>[property:Vector2 v0]</h3>
54+
<h3>[property:Vector3 v0]</h3>
5555
<p>The starting point.</p>
5656

57-
<h3>[property:Vector2 v1]</h3>
57+
<h3>[property:Vector3 v1]</h3>
5858
<p>The first control point.</p>
5959

60-
<h3>[property:Vector2 v2]</h3>
60+
<h3>[property:Vector3 v2]</h3>
6161
<p>The second control point.</p>
6262

63-
<h3>[property:Vector2 v3]</h3>
63+
<h3>[property:Vector3 v3]</h3>
6464
<p>The ending point.</p>
6565

6666

docs/api/ko/extras/DataUtils.html

Lines changed: 31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31 @@
1+
<!DOCTYPE html>
2+
<html lang="ko">
3+
<head>
4+
<meta charset="utf-8" />
5+
<base href="../../../" />
6+
<script src="page.js"></script>
7+
<link type="text/css" rel="stylesheet" href="page.css" />
8+
</head>
9+
<body>
10+
<h1>[name]</h1>
11+
12+
<p class="desc">
13+
데이터의 기능 함수를 포함하고 있는 클래스입니다.
14+
</p>
15+
16+
<h2>메서드</h2>
17+
18+
<h3>[method:Number toHalfFloat]( [param:Number val] )</h3>
19+
<p>
20+
val --단일 부동 소수점 값입니다.<br /><br />
21+
22+
unit16 값으로 표현되는 반정밀 부동소수점 값을 리턴합니다.
23+
</p>
24+
25+
<h2>소스코드</h2>
26+
27+
<p>
28+
[link:https://github.com/mrdoob/three.js/blob/master/src/[path].js src/[path].js]
29+
</p>
30+
</body>
31+
</html>

docs/api/ko/extras/Earcut.html

Lines changed: 33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33 @@
1+
<!DOCTYPE html>
2+
<html lang="ko">
3+
<head>
4+
<meta charset="utf-8" />
5+
<base href="../../../" />
6+
<script src="page.js"></script>
7+
<link type="text/css" rel="stylesheet" href="page.css" />
8+
</head>
9+
<body>
10+
<h1>[name]</h1>
11+
12+
<p class="desc">
13+
이어컷 폴리곤 삼각측량 알고리즘 구현입니다. 이 코드는 [link:https://github.com/mapbox/earcut mapbox/earcut]의 일부입니다.
14+
</p>
15+
16+
<h2>메서드</h2>
17+
18+
<h3>[method:Array triangulate]( data, holeIndices, dim )</h3>
19+
<p>
20+
data -- 꼭짓점 좌표를 가진 평면 배열입니다.<br />
21+
holeIndices -- 확인 가능한 hole 인덱스의 배열입니다.<br />
22+
dim -- 인풋 배열의 꼭짓점 당 좌표의 수입니다.<br /><br />
23+
24+
전달받은 모양의 정의를 바탕으로 삼각측량을 통해 삼각형 배열을 리턴합니다. 삼각형은 꼭짓점을 나타내는 연속된 세 개의 정수 인덱스들로 정의됩니다.
25+
</p>
26+
27+
<h2>소스코드</h2>
28+
29+
<p>
30+
[link:https://github.com/mrdoob/three.js/blob/master/src/[path].js src/[path].js]
31+
</p>
32+
</body>
33+
</html>

docs/api/ko/extras/ImageUtils.html

Lines changed: 31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31 @@
1+
<!DOCTYPE html>
2+
<html lang="ko">
3+
<head>
4+
<meta charset="utf-8" />
5+
<base href="../../../" />
6+
<script src="page.js"></script>
7+
<link type="text/css" rel="stylesheet" href="page.css" />
8+
</head>
9+
<body>
10+
<h1>[name]</h1>
11+
12+
<p class="desc">
13+
이미지 기능을 위한 함수를 담고 있는 클래스입니다.
14+
</p>
15+
16+
<h2>메서드</h2>
17+
18+
<h3>[method:String getDataURL]( [param:HTMLCanvasElement image] | [param:HTMLImageElement image] | [param:ImageBitmap image] )</h3>
19+
<p>
20+
image -- 이미지 오브젝트입니다.<br /><br />
21+
22+
전달받은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이터 URI를 리턴합니다.
23+
</p>
24+
25+
<h2>소스코드</h2>
26+
27+
<p>
28+
[link:https://github.com/mrdoob/three.js/blob/master/src/[path].js src/[path].js]
29+
</p>
30+
</body>
31+
</html>
Lines changed: 78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78 @@
1+
<!DOCTYPE html>
2+
<html lang="ko">
3+
<head>
4+
<meta charset="utf-8" />
5+
<base href="../../../" />
6+
<script src="page.js"></script>
7+
<link type="text/css" rel="stylesheet" href="page.css" />
8+
</head>
9+
<body>
10+
<h1>[name]</h1>
11+
12+
<p class="desc">
13+
이 클래스는 큐브맵 환경 텍스처로부터 사전 필터링된 Mipmap Radiance Environment Map(PMREM)을 생성합니다.
14+
이를 통해 재질의 거칠기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블러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RGBE와 같은 비선형 형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사용자 지정 보간을 수행할 수 있는 특수 CubeUV 형식으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15+
기존의 mipmap 체인과는 달리, LOD_MIN 수준까지만 내려가며(위), 더 높은 거칠기 수준과 연관된 동일한 LOD_MIN 해상도에서 훨씬 더 많은 필터링된 'mips'를 생성합니다.
16+
이러한 방법으로 샘플링 계산을 제한하면서 확산 조명을 부드럽게 보간하기 위한 해상도를 유지합니다.
17+
</p>
18+
19+
<h2>생성자</h2>
20+
21+
<h3>[name]( [param:WebGLRenderer renderer] )</h3>
22+
<p>
23+
새 [name]를 만드는 생성자입니다.
24+
</p>
25+
26+
<h2>메서드</h2>
27+
28+
<h3>[method:WebGLRenderTarget fromScene]( [param:Scene scene], [param:Number sigma], [param:Number near], [param:Number far] )</h3>
29+
<p>
30+
[page:Scene scene] - 전달받은 장면입니다.<br>
31+
[page:Number sigma] - (생략가능) PMREM 생성 전에 장면에 적용할 블러 반지름을 설정합니다. 기본값은 *0*입니다.<br>
32+
[page:Number near] - (생략가능) 근평면 값입니다. 기본값은 *0.1*입니다.<br>
33+
[page:Number far] - (생략가능) 원평면 값입니다. 기본값은 *100*입니다.<br /><br />
34+
35+
전달받은 장면에서 PMREM을 생성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대역폭이 낮은 경우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보다 빠를 수 있습니다.
36+
장면 전체를 렌더링할 수 있도록 가까운 평면과 먼 평면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cubeCamera는 원래 위치에 배치됨).
37+
</p>
38+
39+
<h3>[method:WebGLRenderTarget fromEquirectangular]( [param:Texture equirectangular] )</h3>
40+
<p>
41+
[page:Texture equirectangular] - 등장방형 텍스쳐입니다.<br /><br />
42+
43+
LDR(RGBFormat) 또는 HDR(RGBEFormat)일 수 있는 등장방형 텍스처로부터 PMREM을 생성합니다.
44+
이상적인 입력 이미지 크기는 1k(1024 x 512)로, 256 x 256 큐브 맵 출력과 가장 잘 일치합니다.
45+
</p>
46+
47+
<h3>[method:WebGLRenderTarget fromCubemap]( [param:CubeTexture cubemap] )</h3>
48+
<p>
49+
[page:CubeTexture cubemap] - 큐브맵 텍스쳐입니다.<br /><br />
50+
51+
LDR(RGBFormat) 또는 HDR(RGBEFormat)일 수 있는 큐브맵 텍스처로부터 PMREM을 생성합니다.
52+
이상적인 입력 이미지 크기는 1k(1024 x 512)로, 256 x 256 큐브 맵 출력과 가장 잘 일치합니다.
53+
</p>
54+
55+
<h3>[method:void compileCubemapShader]()</h3>
56+
<p>
57+
큐브 맵 셰이더를 미리 컴파일합니다. 동시성을 높이기 위해 텍스쳐의 네트워크 로딩 중에 이 메서드를 호출하여 더 빨리 시작할 수 있습니다.
58+
</p>
59+
60+
<h3>[method:void compileEquirectangularShader]()</h3>
61+
<p>
62+
등장방형 셰이더를 미리 컴파일합니다. 동시성을 높이기 위해 텍스쳐의 네트워크 로딩 중에 이 메서드를 호출하여 더 빨리 시작할 수 있습니다.
63+
</p>
64+
65+
<h3>[method:void dispose]()</h3>
66+
<p>
67+
PMREM 제너레이터의 내장 메모리를 폐기합니다.
68+
PMREMGenerator는 정적 클래스이므로 두 개 이상의 PMREMGenerator 개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69+
이 경우 둘 중 하나에 대해 dispose()를 호출하면 다른 항목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70+
</p>
71+
72+
<h2>소스코드</h2>
73+
74+
<p>
75+
[link:https://github.com/mrdoob/three.js/blob/master/src/[path].js src/[path].js]
76+
</p>
77+
</body>
78+
</html>

docs/api/ko/extras/ShapeUtils.html

Lines changed: 51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51 @@
1+
<!DOCTYPE html>
2+
<html lang="ko">
3+
<head>
4+
<meta charset="utf-8" />
5+
<base href="../../../" />
6+
<script src="page.js"></script>
7+
<link type="text/css" rel="stylesheet" href="page.css" />
8+
</head>
9+
<body>
10+
<h1>[name]</h1>
11+
12+
<p class="desc">
13+
shape에 대한 기능 함수를 포함하는 클래스입니다.<br /><br />
14+
15+
이 함수들은 모두 일차함수이므로 벡터의 x, y(z, w 가 있는 경우 해당포함) 컴포넌트에 대해 별도로 계산할 필요가 있습니다.
16+
</p>
17+
18+
19+
<h2>메서드</h2>
20+
21+
<h3>[method:Number area]( contour )</h3>
22+
<p>
23+
contour -- 2D 폴리곤입니다. THREE.Vector2() 배열입니다.<br /><br />
24+
25+
( 2D ) 윤곽 폴리곤의 면적을 계산합니다.
26+
</p>
27+
28+
<h3>[method:Boolean isClockWise]( pts )</h3>
29+
<p>
30+
pts -- 2D 폴리곤을 정의하는 점들입니다<br /><br />
31+
32+
일차함수이므로 벡터의 x, y 컴포넌트에 대해 별도로 계산해야 하는 점에 주의해주세요.<br /><br />
33+
34+
[page:Path Path], [page:ExtrudeGeometry ExtrudeGeometry] 및 [page:ShapeGeometry ShapeGeometry]에서 내부적으로 사용됩니다.
35+
</p>
36+
37+
<h3>[method:Array triangulateShape]( contour, holes )</h3>
38+
<p>
39+
contour -- 2D 폴리곤.<br />
40+
holes -- holes 배열<br /><br />
41+
42+
[page:ExtrudeGeometry ExtrudeGeometry] 및 [page:ShapeGeometry ShapeGeometry]에서 내부적으로 holes와 함께 shape의 면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43+
</p>
44+
45+
<h2>소스코드</h2>
46+
47+
<p>
48+
[link:https://github.com/mrdoob/three.js/blob/master/src/[path].js src/[path].js]
49+
</p>
50+
</body>
51+
</html>

docs/api/ko/extras/core/Curve.html

Lines changed: 118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118 @@
1+
<!DOCTYPE html>
2+
<html lang="ko">
3+
<head>
4+
<meta charset="utf-8" />
5+
<base href="../../../../" />
6+
<script src="page.js"></script>
7+
<link type="text/css" rel="stylesheet" href="page.css" />
8+
</head>
9+
<body>
10+
<h1>[name]</h1>
11+
12+
<p class="desc">
13+
보간법 메서드를 가지고 있는 [name] 객체를 만들기 위한 기본 추상 클래스입니다.
14+
[name]의 배열은 [page:CurvePath]를 참고하세요.
15+
</p>
16+
17+
<h2>생성자</h2>
18+
19+
20+
<h3>[name]()</h3>
21+
<p>
22+
새 [name]를 만드는 생성자입니다.
23+
</p>
24+
25+
<h2>프로퍼티</h2>
26+
27+
<h3>[property:Integer arcLengthDivisions]</h3>
28+
<p>이 값은 곡선의 누적 세그먼트 길이를 계산할 때 [page:.getLengths]를 통해 분할할 양을 결정합니다.
29+
[page:.getSpacedPoints]같은 메서드를 사용할 때 정확도를 위해, 곡선이 아주 크다면 [page:.arcLengthDivisions]를 올리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본값은 200입니다.</p>
30+
31+
<h2>메서드</h2>
32+
33+
<h3>[method:Vector getPoint]( [param:Float t], [param:Vector optionalTarget] )</h3>
34+
<p>
35+
[page:Float t] - 곡선의 위치입니다. [ 0, 1 ] 사이에 있어야 합니다. <br>
36+
[page:Vector optionalTarget] — (생략가능) 값이 지정되면, 결과값이 이 벡터에 복제될 것이고 생략되면 새 Vector가 생성됩니다.<br /><br />
37+
38+
곡선의 위치 벡터를 리턴합니다.
39+
</p>
40+
41+
<h3>[method:Vector getPointAt]( [param:Float u], [param:Vector optionalTarget] )</h3>
42+
<p>
43+
[page:Float u] - 원호 길이에 따른 곡선의 위치입니다. [ 0, 1 ] 사이에 있어야 합니다. <br>
44+
[page:Vector optionalTarget] — (생략가능) 값이 지정되면, 결과값이 이 벡터에 복제될 것이고 생략되면 새 Vector가 생성됩니다.<br /><br />
45+
46+
원호 길이에 따른 곡선의 위치 벡터를 리턴합니다.
47+
</p>
48+
49+
<h3>[method:Array getPoints]( [param:Integer divisions] )</h3>
50+
<p>
51+
divisions -- 곡선을 몇 조각으로 나눌지 결정합니다. 기본값은 *5*입니다.<br /><br />
52+
53+
getPoint( t )를 사용하는 divisions + 1 세트를 리턴합니다.
54+
</p>
55+
56+
<h3>[method:Array getSpacedPoints]( [param:Integer divisions] )</h3>
57+
<p>
58+
divisions -- 곡선을 몇 조각으로 나눌지 결정합니다. 기본값은 *5*입니다.<br /><br />
59+
60+
getPointAt( u )를 사용하는 균등 분할된 divisions + 1 세트를 리턴합니다.
61+
</p>
62+
63+
<h3>[method:Float getLength]()</h3>
64+
<p>총 곡선 원호 길이를 가져옵니다.</p>
65+
66+
<h3>[method:Array getLengths]( [param:Integer divisions] )</h3>
67+
<p>누적 세그먼트 길이 목록을 가져옵니다.</p>
68+
69+
<h3>[method:null updateArcLengths]()</h3>
70+
<p>누적 세그먼트 거리 캐시를 업데이트합니다.</p>
71+
72+
<h3>[method:Float getUtoTmapping]( [param:Float u], [param:Float distance] )</h3>
73+
<p>
74+
( 0 .. 1 ) 범위의 u 를 받아, 마찬가지로 ( 0 .. 1 ) 범위의 [page:Float t] 를 리턴합니다.
75+
[page:.getPoint]를 사용해 u와 t는 곡선의 끝에서 등거리인 점을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76+
</p>
77+
78+
<h3>[method:Vector getTangent]( [param:Float t], [param:Vector optionalTarget] )</h3>
79+
<p>
80+
[page:Float t] - 곡선의 위치입니다 [ 0, 1 ] 범위여야합니다. <br>
81+
[page:Vector optionalTarget] — (생략가능) 값이 지정되면, 결과값이 이 벡터에 복제될 것이고 생략되면 새 Vector가 생성됩니다. <br /><br />
82+
83+
t에서 접선하는 단위 벡터를 반환합니다.
84+
파생 곡선이 접선 유도법을 구현하지 않는 경우, 작은 델타 간격의 두 점이 합리적인 근사치의 기울기를 찾는 데 사용됩니다.
85+
</p>
86+
87+
<h3>[method:Vector getTangentAt]( [param:Float u], [param:Vector optionalTarget] )</h3>
88+
<p>
89+
[page:Float u] - 원호 길이에 따른 곡선의 위치. [0, 1] 범위에 있어야 합니다. <br>
90+
[page:Vector optionalTarget] — (생략가능) 값이 지정되면, 결과값이 이 벡터에 복제될 것이고 생략되면 새 Vector가 생성됩니다. <br /><br />
91+
92+
[page:.getTangent]에 지정된 점에서 곡선의 끝과의 거리가 동일한 접선의 점을 반환합니다.
93+
</p>
94+
95+
<h3>[method:Object computeFrenetFrames]( [param:Integer segments], [param:Boolean closed] )</h3>
96+
<p>
97+
프레닛 프레임을 생성합니다. 3D 스페이스에 곡선 정의가 필요합니다. [page:TubeGeometry] 혹은 [page:ExtrudeGeometry] 같은 기하학에 사용됩니다.
98+
</p>
99+
100+
<h3>[method:Curve clone]()</h3>
101+
<p>이 인스턴스의 사본을 만듭니다.</p>
102+
103+
<h3>[method:Curve copy]( [param:Curve source] )</h3>
104+
<p>다른 [name] 객체를 이 인스턴스에 복사합니다.</p>
105+
106+
<h3>[method:Object toJSON]()</h3>
107+
<p>이 인스턴스의 JSON 객체 표현을 리턴합니다.</p>
108+
109+
<h3>[method:Curve fromJSON]( [param:Object json] )</h3>
110+
<p>JSON 객체에서 이 인스턴스로 데이터를 복사합니다.</p>
111+
112+
<h2>소스코드</h2>
113+
114+
<p>
115+
[link:https://github.com/mrdoob/three.js/blob/master/src/[path].js src/[path].js]
116+
</p>
117+
</body>
118+
</html>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