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 [level 1] [카카오 인턴] 키패드 누르기 - 67256 |
| 2 | + |
| 3 | +[문제 링크](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7256) |
| 4 | + |
| 5 | +### 성능 요약 |
| 6 | + |
| 7 | +메모리: 16.3 MB, 시간: 0.62 ms |
| 8 | + |
| 9 | +### 구분 |
| 10 | + |
| 11 | +코딩테스트 연습 > 2020 카카오 인턴십 |
| 12 | + |
| 13 | +### 채점결과 |
| 14 | + |
| 15 | +정확성: 100.0<br/>합계: 100.0 / 100.0 |
| 16 | + |
| 17 | +### 제출 일자 |
| 18 | + |
| 19 | +2025년 10월 08일 17:46:18 |
| 20 | + |
| 21 | +### 문제 설명 |
| 22 | + |
| 23 | +<p>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p> |
| 24 | + |
| 25 | +<p><img src="https://grepp-programmers.s3.ap-northeast-2.amazonaws.com/files/production/4b69a271-5f4a-4bf4-9ebf-6ebed5a02d8d/kakao_phone1.png" title="" alt="kakao_phone1.png"></p> |
| 26 | + |
| 27 | +<p>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br> |
| 28 |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code>*</code>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code>#</code>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p> |
| 29 | + |
| 30 | +<ol> |
| 31 | +<li>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li> |
| 32 | +<li>왼쪽 열의 3개의 숫자 <code>1</code>, <code>4</code>, <code>7</code>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li> |
| 33 | +<li>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code>3</code>, <code>6</code>, <code>9</code>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li> |
| 34 | +<li>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code>2</code>, <code>5</code>, <code>8</code>, <code>0</code>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br> |
| 35 |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li> |
| 36 | +</ol> |
| 37 | + |
| 38 | +<p>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p> |
| 39 | + |
| 40 | +<h5><strong>[제한사항]</strong></h5> |
| 41 | + |
| 42 | +<ul> |
| 43 | +<li>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li> |
| 44 | +<li>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li> |
| 45 | +<li>hand는 <code>"left"</code> 또는 <code>"right"</code> 입니다. |
| 46 | + |
| 47 | +<ul> |
| 48 | +<li><code>"left"</code>는 왼손잡이, <code>"right"</code>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li> |
| 49 | +</ul></li> |
| 50 | +<li>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code>L</code>,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code>R</code>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li> |
| 51 | +</ul> |
| 52 | + |
| 53 | +<hr> |
| 54 | + |
| 55 | +<h5><strong>입출력 예</strong></h5> |
| 56 | +<table class="table"> |
| 57 | + <thead><tr> |
| 58 | +<th>numbers</th> |
| 59 | +<th>hand</th> |
| 60 | +<th>result</th> |
| 61 | +</tr> |
| 62 | +</thead> |
| 63 | + <tbody><tr> |
| 64 | +<td>[1, 3, 4, 5, 8, 2, 1, 4, 5, 9, 5]</td> |
| 65 | +<td><code>"right"</code></td> |
| 66 | +<td><code>"LRLLLRLLRRL"</code></td> |
| 67 | +</tr> |
| 68 | +<tr> |
| 69 | +<td>[7, 0, 8, 2, 8, 3, 1, 5, 7, 6, 2]</td> |
| 70 | +<td><code>"left"</code></td> |
| 71 | +<td><code>"LRLLRRLLLRR"</code></td> |
| 72 | +</tr> |
| 73 | +<tr> |
| 74 | +<td>[1, 2, 3, 4, 5, 6, 7, 8, 9, 0]</td> |
| 75 | +<td><code>"right"</code></td> |
| 76 | +<td><code>"LLRLLRLLRL"</code></td> |
| 77 | +</tr> |
| 78 | +</tbody> |
| 79 | + </table> |
| 80 | +<h5><strong>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strong></h5> |
| 81 | + |
| 82 | +<p><strong>입출력 예 #1</strong></p> |
| 83 | + |
| 84 | +<p>순서대로 눌러야 할 번호가 [1, 3, 4, 5, 8, 2, 1, 4, 5, 9, 5]이고, 오른손잡이입니다.</p> |
| 85 | +<table class="table"> |
| 86 | + <thead><tr> |
| 87 | +<th>왼손 위치</th> |
| 88 | +<th>오른손 위치</th> |
| 89 | +<th>눌러야 할 숫자</th> |
| 90 | +<th>사용한 손</th> |
| 91 | +<th>설명</th> |
| 92 | +</tr> |
| 93 | +</thead> |
| 94 | + <tbody><tr> |
| 95 | +<td>*</td> |
| 96 | +<td>#</td> |
| 97 | +<td>1</td> |
| 98 | +<td>L</td> |
| 99 | +<td>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td> |
| 100 | +</tr> |
| 101 | +<tr> |
| 102 | +<td>1</td> |
| 103 | +<td>#</td> |
| 104 | +<td>3</td> |
| 105 | +<td>R</td> |
| 106 | +<td>3은 오른손으로 누릅니다.</td> |
| 107 | +</tr> |
| 108 | +<tr> |
| 109 | +<td>1</td> |
| 110 | +<td>3</td> |
| 111 | +<td>4</td> |
| 112 | +<td>L</td> |
| 113 | +<td>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td> |
| 114 | +</tr> |
| 115 | +<tr> |
| 116 | +<td>4</td> |
| 117 | +<td>3</td> |
| 118 | +<td>5</td> |
| 119 | +<td>L</td> |
| 120 | +<td>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td> |
| 121 | +</tr> |
| 122 | +<tr> |
| 123 | +<td>5</td> |
| 124 | +<td>3</td> |
| 125 | +<td>8</td> |
| 126 | +<td>L</td> |
| 127 | +<td>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3이므로 왼손으로 8을 누릅니다.</td> |
| 128 | +</tr> |
| 129 | +<tr> |
| 130 | +<td>8</td> |
| 131 | +<td>3</td> |
| 132 | +<td>2</td> |
| 133 | +<td>R</td> |
| 134 | +<td>왼손 거리는 2, 오른손 거리는 1이므로 오른손으로 2를 누릅니다.</td> |
| 135 | +</tr> |
| 136 | +<tr> |
| 137 | +<td>8</td> |
| 138 | +<td>2</td> |
| 139 | +<td>1</td> |
| 140 | +<td>L</td> |
| 141 | +<td>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td> |
| 142 | +</tr> |
| 143 | +<tr> |
| 144 | +<td>1</td> |
| 145 | +<td>2</td> |
| 146 | +<td>4</td> |
| 147 | +<td>L</td> |
| 148 | +<td>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td> |
| 149 | +</tr> |
| 150 | +<tr> |
| 151 | +<td>4</td> |
| 152 | +<td>2</td> |
| 153 | +<td>5</td> |
| 154 | +<td>R</td> |
| 155 | +<td>왼손 거리와 오른손 거리가 1로 같으므로, 오른손으로 5를 누릅니다.</td> |
| 156 | +</tr> |
| 157 | +<tr> |
| 158 | +<td>4</td> |
| 159 | +<td>5</td> |
| 160 | +<td>9</td> |
| 161 | +<td>R</td> |
| 162 | +<td>9는 오른손으로 누릅니다.</td> |
| 163 | +</tr> |
| 164 | +<tr> |
| 165 | +<td>4</td> |
| 166 | +<td>9</td> |
| 167 | +<td>5</td> |
| 168 | +<td>L</td> |
| 169 | +<td>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td> |
| 170 | +</tr> |
| 171 | +<tr> |
| 172 | +<td>5</td> |
| 173 | +<td>9</td> |
| 174 | +<td>-</td> |
| 175 | +<td>-</td> |
| 176 | +<td></td> |
| 177 | +</tr> |
| 178 | +</tbody> |
| 179 | + </table> |
| 180 | +<p>따라서 <code>"LRLLLRLLRRL"</code>를 return 합니다.</p> |
| 181 | + |
| 182 | +<p><strong>입출력 예 #2</strong></p> |
| 183 | + |
| 184 | +<p>왼손잡이가 [7, 0, 8, 2, 8, 3, 1, 5, 7, 6, 2]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code>"LRLLRRLLLRR"</code>이 됩니다.</p> |
| 185 | + |
| 186 | +<p><strong>입출력 예 #3</strong></p> |
| 187 | + |
| 188 | +<p>오른손잡이가 [1, 2, 3, 4, 5, 6, 7, 8, 9, 0]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code>"LLRLLRLLRL"</code>이 됩니다.</p> |
| 189 | + |
| 190 | + |
| 191 | +>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