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45 +7,64 @@ author: Young
77comments : True
88---
99
10- ## INTRO
10+ # INTRO
1111쓰겠다고 예고하고는 글 작성이 늦네요
1212천천히 가더라도 꾸준히 가보겠습니다.
1313
1414# Apply Design System
1515
16- ## Introduction
16+ https://www.youtube.com/watch?v=LmLchZ4tCXc&ab_channel=FEConfKorea
17+ (6분 50초 부터)
1718
18- 만든거
19+ 위 토스의 FE Conference 내용을 보면서,
1920
20- https://github.com/JinhakApply-ToyProjects/ADS.git
21+ 디자인 시스템의 도입은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정리하였습니다.
2122
22- 개발 : Next.js (v14)
23+ 1 . 디자인 시스템을 통해,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24+ 2 . 디자인 시스템을 통해,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25+ 3 . 디자인 시스템을 통해, 디자인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2326
24- https://www.youtube.com/watch?v=LmLchZ4tCXc&ab_channel=FEConfKorea
27+ 위를 통해,
28+ 저희 회사에서도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필요를 제시하였고, 이를 ADS(Apply Design System)이라고 통칭하기로 하였습니다.
29+
30+
31+ ## Introduction
32+
33+ 개발자는 말보다 만든것으로 보여줘야한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에 아래 github에서 프로젝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34+ https://github.com/navskh/apply-design-system
35+ 개발은 Next.js (v14) 로 하였으며, 디자인은 기존 저희 회사의 '반응형 원서'에서 사용되는 css를 sample로 가져왔습니다.
36+
37+ 현재까지는, 아직 구체화 시키지는 못하였으나
2538
26- 6분 50초 부터.
2739
2840## 디자인 시스템의 구성요소
2941
30- ### 1. 비주얼 언어
42+ 만들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봅니다.
43+
44+ ### 1. 토큰
3145
32- 여러 토큰이라 부름
46+ 디자인 구성요소로서의 가장 작은 단위를 토큰이라 부르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3347
3448- 컬러토큰
3549 https://testdesign.jinhakapply.com/AdmissionApplyV4/_guide_font.html
3650- 타이포그래피 토큰
3751- 여백 토큰
3852- 트랜지션 토큰
3953
40- 등등..
54+ 등등이 있으며
55+ 대부분의 디자인 시스템의 경우
56+ Foundation 이라고 하는 영역에 지정하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57+
58+ 이 경우, Sample 엘리먼트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디자인의 철학, 근간 등을 정리해둔 문서의 느낌이 강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4159
4260### 2. 컴포넌트
4361
4462토큰들의 조합으로 생김새 등을 지정
4563
4664- button 하나 안에도, color, fill, weak, normal, pressed 등
4765
48- 몇가지 옵션으로 제약함
66+ 몇가지 옵션으로 제약함을 지정하였고
67+ 이를 묶어서 컴포넌트라 부르는 것을 보았습니다.
4968
5069### 3. 패턴 (Rule 에 가까우므로 가이드문서에 저장) ⇒ 기획자 사용
5170
@@ -55,39 +74,35 @@ primary fill : CTA .로
5574
5675danger fill : 부정적 개념
5776
58- 추가적으로 ADS에 정의하려 하는 것들..
77+ 추가적으로 동작하는 것 등을 지정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5978
60- ### ** 필드
79+ ### 그 외 1) 필드
6180
62- 생성툴에서 이야기하는 필드의 개념
81+ 저희 회사는 내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생성툴이 있는데
6382
64- 컴포넌트의 조합
83+ 이 생성툴에서 이야기하는 필드의 개념은 컴포넌트의 조합입니다.
6584
66- 적정선에서의 제한을 두어 만들어야 할 것으로 예상됨 .
85+ 그래서, 어떤 라벨과 input 의 조합을 필드라고 부르는 것을 보았습니다 .
6786
68- ### ** * 템플릿
87+ 적정선에서의 제한을 두어 만들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어집니다.
6988
70- 필드의 조합
89+ ### 그 외 2) 템플릿
7190
72- 여러 가지 필드들이 모여있는 경우
91+ 또한 추가적으로 앞으로의 프로젝트의 성격을 생각해볼 때 템플릿이라는 요소가 추가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7392
74- ## 디자인 핸드오프
93+ 템플릿은 곧 필드의 조합 자주쓰는 필드의 조합을 묶어서 템플릿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할 예정입니다.
7594
76- 결론적으로는, Figma ⇒ vscode 로의 변환이 가능해져야 한다.
95+ ## 디자인 핸드오프
7796
78- 그러려면 디자인의 구조화가 필요하다. (json)
97+ 최종 목표는, Figma ⇒ vscode 로의 변환이 가능해져야 함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7998
80- ## 앞으로 필요한 것들
99+ 그러려면 디자인의 구조화가 필요하고. (json)
81100
82- ### 1. 디자인 시스템 구성요소 하나씩 정의
101+ 또한 Figma API의 사용등을 통해 디자인 산출물을 html로 변환해주는 모듈을 만들어보려 합니다.
83102
84- 1 . 토큰의 종류를 정하자.
85- 2 . 컴포넌트의 종류 (버튼, 인풋)
86- 3 . 필드의 종류
87- 4 . 템플릿
103+ 다음 포스트로 작성해보겠습니다.
88104
89- [ https://www.youtube.com/watch?v=IN0a_3c1vJs&ab_channel=디자이너DK ] ( https://www.youtube.com/watch?v=IN0a_3c1vJs&ab_channel=%EB%94%94%EC%9E%90%EC%9D%B4%EB%84%88DK )
90105
91- ### 2. 각 구성요소에 맞는 디자인 시안이 정해져야 한다.
106+ ### 다음을 기약하며
92107
93- ### 3. ADS 페이지에 반영
108+ 지금까지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