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 내에서의 MS들의 밀도
- MS들의 이동 속도와 방향
- 호의 발생 빈도
- 얼마나 많은 MS들이 호를 발생시키나
- 통화 시간
- BS 또는 다른 MS들 대비 MS들의 상대적인 위치
- 셀 내에서의 트래픽의 종류(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 인접 셀에서의 트래픽
-
랜덤 변수 - 임의의 무작위적 현상의 성질
-
이산 랜덤 변수(pmf 사용) - 유한의 셀 수 있는 값을 랜덤 변수로 표현하는 것
-
사례
-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올 것인가, 뒷면이 나올 것인가
- 주사위를 던져서 각각의 숫자가 나올 확률
-
이산 랜덤 변수 X에 대하여 X의 pmf p(k)는 랜덤 변수 X의 값이 k가 될 확률이며, 다음과 같은 함수로 표현된다. $$ p(k) = P(X = k), for,k = 0,1,2,..., \,\ \mbox{이함수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1.,,0 \leq p(k) \leq 1, 모든 ,k에, 대해 \ 2.,,\sum p(k) = 1, 모든, k에, 대해 $$
-
-
연속 랜덤 변수(pdf 사용) - 랜덤 변수가 무한히 많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
- 사례
- 매일 매일의 기온
- 확률 질량 함수 대신 확률 밀도 함수를 가짐
- 사례
-
-
기대치, n차 모멘트, n차 중심모멘트 및 분산
-
기대치 - 변수의 평균 또는 중심값을 의미, 변수의 분포를 요약하는 유용한 값(숫자)이다.
-
어떤 랜덤 변수의 분산이란? 그 랜덤 변수의 실제 값이 어느 정도 넓게 퍼져서 나타날까 하는 정도를 표현하는 음수 아닌 실수
-
분산 ↑ 관측값이 평균적으로 더 많이 퍼짐
- 이것은 셀 내의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가입자들의 호 발생 유형이 어떠한가를 표현하기에 매우 유용
- 위의 값을 알면 그 셀에서의 동시 통화수를 예측하는 데 이용가능
- 새로운 호는 서로 다른 시간에 발생 → 호 발생은 이산 랜덤 변수로 표현
- 호 지속시간(가입자의 통화시간)은 가변적이며 어느 한 채널이 통화 중인 시간의 비율은 호 발생률과 호 지속시간의 가중치에 좌우됨
- 반면에 인접 채널들 간의 간섭은 각 채널이 얼마나 긴 시간 동안 사용되었는가에 좌우되며 여러 개의 채널이 함께 사용된 중첩 기간이 얼마나 길었는가에 좌우됨
- 트래픽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해당 모멘트 함수들을 모두 계산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변수들을 정량화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에 대한 영향을 이해할 수 있음!!
-
-
이산 랜덤 변수
- 푸아송 랜덤 변수
-
기하 분포
기하 분포는 첫 번째 성공을 이룰 때까지 반복적으로 시행한 실험의 횟수를 표현
-
이항 분포
이항 랜덤 변수는 n개의 항목 중에 k개가 존재할 경우를 표현 연속적인 시도 중에 얻은 성공 횟수를 나타냄
$$ P(X=k)={n\choose k}p^k(1-p)^{n-k}\ \mbox{이 식에서 }k=0,1,2,...,n이고,,n=0,1,2,...,이며,,p는,성공확률을 나타낸다.\ \mbox{또한, 다음의 정의가 적용된다.}\ {n\choose k} = {n!\over k!(n-k)!}.\ \mbox{이항 분포는 기대치가 }E[X]=np,,이며,,분산은,Var(X)=np(1-p)로,나타낸다. $$ 푸아송 분포는 가끔 변수 n 및 p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이항 분포의 근사식으로 쓰이기도 함 관측횟수 n의 값이 매우 크고 성공 확률 p가 매우 작을 경우, 이항 분포는 λ = np의 관계를 통하여 푸아송 분포에 근접 이항분포의 계산보다 푸아송 분포의 계산이 훨씬 간단하여 이 사실이 매우 유용 기하 분포 또한 성공확률이 일정하게 p로 정의된 독립적인 실험에 근거한다는 측면에서 이항분포와 관게가 있음
기하 분포는 첫 번째 성공할 때까지의 시도횟수 ↔ 이항 분포는 n번의 시도 중에서 성공한 횟수
하나의 무작위 실험의 결과가 몇 가지의 랜덤 변수 값에 의하여 조정되고 이 값들이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 있을 때가 있다.
예) 서로 다른 가입자들이 서로 다른 길이, 서로 다른 속도의 호를 발생 시킨다고 가정
- 각 사용자를 하나씩의 랜덤 변수로 모형화
- 어느 한 가입자의 총체적인 특성은 하나의 포괄적인 랜덤 변수로 정의 가능
-
조건부 확률
-
베이스의 정리
- 이 공리는 현재의 트래픽 조건이 주어졌을 때 추가적인 트래픽의 발생확률을 계산하고자 할 때 유용
-
독립성
-
주요 속성
-
기대치의 덧셈 속성 $$ \mbox{랜덤 변수들 }X_1, X_2,...,X_n \mbox{의 합의 기대치는 다음과 같다.}\ E[\sum_{i=1}^na_iX_i]=\sum_{i=1}^na_iE[X_i]\ 식에서,a_i는,임의의,상수이다. $$
-
기대치의 곱셈 속성 $$ \mbox{만일 랜덤 변수들 }X_1, X_2,...,X_n \mbox{들이 통계적으로 독립이라면 }X_1, X_2,...,X_n\mbox{의 곱의 기대치는 다음과 같다.}\ E[\prod_{i=1}^nX_i]=\prod_{i=1}^nE[X_i] $$
-
분산의 덧셈 속성 $$ \mbox{랜덤 변수들 }X_1, X_2,...,X_n \mbox{의 합의 분산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Var[\sum_{i=1}^na_iX_i]=\sum_{i=1}^na_i^2Var(X_i) + 2\sum_{i=1}^{n-1}\sum_{j=i+1}^na_ia_jCov[X_i,X_j]\ 식에서,Cov[X_i,X_j],는 \mbox{랜덤 변수들 }X_i,및,X_i,\mbox{간의 공분산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Cov[X_i,X_j]=E[(X_i-E[X_i])(X_j-E[X_j])]\ =E[X_iX_j]-E[X_i]E[X_j].\ \mbox{만일 이 경우, 두 변수 }X_i,및X_j가\mbox{ 서로 독립인 랜덤 변수들이라고 하면(무상관의, 즉}cov[X_i,X_j]=0인)\mbox{ 아래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Var(\sum_{i=1}^na_iX_i)=\sum_{i=1}^na_i^2Var(X_i) $$
-
합의 분포
$$ X와,Y가,fXY(x,y)\mbox{와 같은 결합 pdf를 가진 연속 랜덤 변수들이라고 가정한다. 만일}Z=\phi(X,Y)\mbox{라고 한다면 }Z의\mbox{분포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_Z(z)=P(Z\leq z)=\iint_{\phi z}f_{XY}(x,y)dxdy\ 식에서,\phi Z는,Z의,부분,집합을,의미한다.,Z=X+Y인,\mbox{특별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얻는다.}\ F_Z(z)=\iint_{\phi z}f_{XY}(x,y)dxdy=\int_{-\infty}^\infty\int_{-\infty}^\infty f_{XY}(x,y)dxdy\ 이,식에서,y=t-z의\mbox{ 변환을 취하면 다음의 관계가 된다.}\ F_Z(z)=\int^z_{-\infty}\int^\infty_{-\infty}f_{XY}(x,t-x)dxdt=\int^z_{-\infty}f_Z(t)dt.\ 따라서,Z의,pdf\mbox{는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f_Z(z)=\int_{-\infty}^\infty f_{XY}(x,z-x)dx,,,for-\infty\leq z <\infty\ 만일,X와,Y가,상호,독립적이라고,하면f_{XY}(x,y)=f_X(x)f_Y(y)\mbox{의 관계가 성립하므로 다음과 같은 관계를 얻는다.}\ f_Z(z)=\int_{-{\infty}}^\infty f_X(x)f_Y(z-x)dx,,,for-\infty\leq z <\infty\ 또,만일,X와,Y가\mbox{ 음수가 아닌 랜덤 변수라고 한다면 다음과 주같이 주어진다.}\ f_Z(z)=\int_0^zf_X(x)f_Y(z-x)dx,,,for-\infty\leq z <\infty\ \mbox{따라서 두 개의 음수가 아닌 상호독립적인 랜덤 변수들의 합의 pdf는 각각의 pdf,}f_X(x)와,f_Y(y)의 \mbox{콘볼루션으로 표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
중심 극한 정리
- 이 정리는 신호들 상호 관계에 관하여 추정에 의존하여야 할 경우 매우 유용함
- 예)
- 표본의 크기가 매우 크다면 주어진 데이터가 정규 분포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고 정규성을 전제로 가설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해줌
- 검증 시험이 표본 평균을 사용하며 중심 극한 정리는 이를 정규 분포로 근사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 푸아송 랜덤 과정 : 시간적으로 분리된 랜덤 사건들의 순열
- 예) 은행에 도착하는 고객들의 수나 가이거 계수관의 클릭의 수 등은 버퍼에 도달하는 패킷의 수와 특성이 비슷함
- 무선 네트워크에서 어느 셀에서 발생되는 호의 순열을 종종 푸아송 랜덤 과정으로 표현됨
- 푸아송 랜덤 과정의 도착률 λ는 단위 시간 동안에 관측되는 평균 발생률을 의미
-
푸아송 랜덤 과정의 특성
-
$$ \mbox{어떤 시간 구간}[0,t)에서,t시간,동안,n\mbox{개의 도착이 일어날 확률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P_n(t)={(\lambda t)^n\over n!}e^{-\lambda t},,,for=0,1,2,...\ \mbox{두 개의 분리된 구간, (t1,t2)및 (t3,t4)가 주어졌을 때(즉 t1 < t2 < t3 < t4), (t1, t2)구간에서의 도착 수는 (t3, t4) 구간에서 도착한 수와 상호 독립적이다.} $$
-
예) 무선 네트워크에서 (t1, t2)구간에서 발생한 호의 수는 (t3, t4)구간에서 발생한 호의 수에 아마도 독립적일 것
-
-
푸아송 랜덤 과정의 도착점간 시간
-
무기억 특성
- 예)
- 인간의 수명을 X라고 가정할 때 이미 y 시간을 살았다고 할 때 수명이 y+t보다 더 길 확률은 그냥 수명이 앞으로 t시간을 넘어설 확률과 동일하다는 것
- 무선 통신 분야에서 새로운 호의 생성을 그 사용자의 과거의 호 발생 이력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점을 암시함
- 예)
-
수렴 특성
- 예) 무선 네트워크에서 어떤 셀이 일부 그룹은 보행자들로 구성된 음성 서비스로 구성될 수 있고, 또다른 일부의 그룹은 고속으로 움직이는 차 안에서의 음성 서비스, 또 다른 그룹은 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그룹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 이 경우, 각 그룹은 서로 다른 푸아송 랜덤 과정으로 표현
-
분할 특성
- $$ \mbox{만일 도착점 간 시간이 }1-e^{-\lambda t}\mbox{인 푸아송 랜덤 과정이 n개의 랜덤 과정으로 분할되면서 도착호가 i번째 프로세스로 접속될 확률을 }P_i,i=1,2,...,n이라고\mbox{하면}\ \mbox{i번째 부분 프로세스는 도착점간의 분포가 }1-e^{-P_i\lambda t}\mbox{으로 나타난다. 즉, n개의 푸아송 랜덤 과정이 분할되어 나타난 것이다.} $$
큐잉 이론 : 큐(또는 대기열이라고 부르기도 함)에 관하여 연구하는 분야.
- 무선 네트워크에서 한 셀에서의 신규 호의 발생과 이러한 셀에 채널을 할당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등의 다양한 응용영역을 가짐
- 트래픽 흐름, 스케줄링, 자원 할당 등의 세 가지 주된 분야로 나눌 수 있음
1951년도에 켄달이 큐잉 시스템을 구분하는 표준 형식을 오른쪽과 같이 제안 → A/B/C/D/E
A | 고객의 도착점 간 시간의 분포 |
---|---|
B | 서비스 시간의 분포 |
C | 서버의 수 |
D | 시스템 내의 고객의 최대수 |
E | 모집단의 수 |
특히 A와 B는 아래의 분포 형식 중 하나로 정의
M | 지수 분포(마르코프 과정) |
---|---|
D | 확정(변화없는) 분포 |
Ek | 얼랑 분포(성형 변수 k) |
G | 일반 분포(임의의 분포) |
Hk | 하이퍼 지수분포(변수 k) |
-
λ - 평행 상태에서의 평균 고객 도착률
-
N - 시스템 내의 평균 고객의 수(버퍼에 대기중인 고객과 서비스 중인 고객을 모두 포함)
-
T - 시스템 내에서 각 고객이 지체하는 평균 시간(큐에서 대기한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합한 것)
-
이 경우, 직관적인 예측을 따르면 다음과 같은 관계를 유추 할 수 있다. $$ N=\lambda T $$
-
이 정리는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과정이나 도착 과정의 통계적 특성에 대하여 참으로 적용됨
- 랜덤 과정의 다음 상태가 해당 랜덤 과정의 그 이전에 생성되어온 과정(즉 과거의 이력)과는 관계없이 현재 상태에만 의존하는 랜덤 과정
- 위 말의 의미 :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와 그 상태에서의 천이 확률만 알면 과거의 상태와 관계없이 다음 상태를 예측할 수 있음
- 마르코프 사슬 == 이산 상태 마르코프 랜덤 과정
- 모집단의 수를 모형화하거나 큐에서 기다리는 작업의 수를 모형화하는 데 적용하는 특수한 형식의 마르코프 랜덤 과정
용어 정리
호(Call) : 전화교환망에서 개개의 통신이 통신설비를 일시적으로 점유하는 것 MS : Mobile Station BS : Base Station pdf : 확률 밀도 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mf : 확률 분포 또는 확률 질량 함수(probability mass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