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f71adb2

Browse files
authored
Update README.md
1 parent 69f2bca commit f71adb2

File tree

1 file changed

+13
-7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13
-7
lines changed

README.md

Lines changed: 13 additions & 7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7 +11,7 @@ Flask + React + Redux + React Router + Webpack3
1111
9) HMR
1212

1313
# 어떤 사람들에게 필요한 프로젝트인가요?
14-
보통 리액트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일 경우 서버단은 node.js로 구현하는게 깔끔하겠지만, 파이썬에서 리액트 프런트를 구축해야 할 상황이 와서 해당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14+
보통 리액트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일 경우 서버단은 node.js로 구현하는게 깔끔하겠지만, 백엔드 서버는 파이썬으로 구축하면서 리액트로 프런트를 구축해야 할 상황이 와서 해당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1515

1616
## 부여된 조건
1717
1) 서버단 언어는 Python이여야한다.
@@ -37,17 +37,23 @@ cd static
3737

3838
./server.sh
3939

40+
### ./server.sh 스크립트를 실행시키면 백엔드 파이썬 서버가 기동됩니다.
41+
### 해당 백엔드 서버는 나중에 디플로이할때의 환경이 되며, 프런트서버에서 api호출할 경우, 해당 서버를 바라보게 됩니다.
42+
4043
## 4) 프런트엔드 개발서버 기동 (Webpack Dev Server) : localhost:8080
4144
yarn start
4245

46+
### Webpack-dev-server를 이용한 개발서버가 기동이 됩니다.
47+
4348
## 5) 디플로이 하기
4449
yarn build
4550

46-
# 흐름
47-
./server.sh 스크립트를 실행시키면 백엔드 파이썬 서버가 기동됩니다.
48-
해당 백엔드 서버는 나중에 디플로이할때의 환경이 되며, 프런트서버에서 api호출할 경우, 해당 서버를 바라보게 됩니다.
49-
yarn start로 프런트서버를 기동하면 Webpack-dev-server를 이용한 개발서버가 기동이 됩니다.
50-
해당 webpack.config.js를 보면, webpack-dev-server의 설정에서 라우트 패스가 /api일 경우 proxy: localhost:5000을 보게 되는 원리로 되어있습니다.
51-
따라서 프런트서버에서 개발이 완료되고 yarn build를 하면 백엔드 서버는 빌드된 static/dist의 소스들을 바라보게 되고 프런트와 같은 환경이 되게 됩니다.
51+
### 해당 webpack.config.js를 보면, webpack-dev-server의 설정에서 라우트 패스가 /api일 경우 proxy: localhost:5000을 보게 되는 원리로 되어있습니다.
52+
### 따라서 프런트서버에서 개발이 완료되고 yarn build를 하면 백엔드 서버는 빌드된 static/dist의 소스들을 바라보게 되고 프런트와 같은 환경이 되게 됩니다.
53+
54+
# 번들링
55+
56+
5257

58+
# 정적리소스 연결
5359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