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a6a8479

Browse files
committed
Corrects for spelling
1 parent 03c14ea commit a6a8479

File tree

1 file changed

+7
-8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7
-8
lines changed

README-ko_KR.md

Lines changed: 7 additions & 8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0,7 +40,7 @@ sayHi();
4040

4141
#### 정답: D
4242

43-
함수내에서, 우선 `var`키워드를 사용해 `name`변수를 선언해요. 이것은 변수가 정의되어 있는 행에 실제로 도달할 때까지, 변수는 `undefined`을 기본값으로 호이스팅 (생성단계에 메모리 공간이 설정됨)는 것을 의미해요. `name`변수를 출력 하려는 줄에서 아직 변수를 정의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undefined`값을 유지하고 있어요.
43+
함수내에서, 우선 `var`키워드를 사용해 `name`변수를 선언해요. 이것은 변수가 정의되어 있는 행에 실제로 도달할 때까지, 변수는 `undefined`을 기본값으로 호이스팅 (생성단계에 메모리 공간이 설정됨)는 것을 의미해요. `name` 변수를 출력 하려는 줄에서 아직 변수를 정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undefined`값을 유지하고 있어요.
4444

4545
`let`키워드(그리고 `const`)를 가지는 변수들은, `var`와는 달리, 호이스팅되지만 <i>초기화</i>되지 않아요. 그것들을 선언(초기화)하는 줄 전에는 접근 할 수 없어요. 이것은 "일시적 사각지대"라고 불려요. 선언되기 전에 변수에 접근하려고 하면, JavaScript는 `ReferenceError`를 던져요.
4646

@@ -736,8 +736,7 @@ set.has(1);
736736

737737
#### 정답: C
738738

739-
모든 객체 키(Symbols 제외)
740-
모든 객체 키는(Symbol 제외) 문자열로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내부적으로는 문자열이에요. 이것이 `obj.hasOwnProperty('1')` 또한 true를 리턴하는 이유에요.
739+
모든 객체 키는(Symbol 제외) 문자열로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내부적으로는 문자열이에요. 이것이 `obj.hasOwnProperty('1')` 또한 true를 리턴하는 이유에요.
741740

742741
set에서는 작동하지 않아요. set에는 `'1'`이 없어요: `set.has('1')``false`를 리턴해요. 그것은 수형인 `1`을 가지고 있어, `set.has(1)``true`를 리턴해요.
743742

@@ -1128,12 +1127,12 @@ console.log(numbers);
11281127

11291128
#### 정답: C
11301129

1131-
배열의 길이를 초과한 값을 배열의 요소로 설정하고자 할때, JavaScript는 "empty slots"이라고 불리는 것을 생성해요. 이것은 실제로 `undefined`의 값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것을 보게 될거에요:
1130+
배열의 길이를 초과한 값을 배열의 요소로 설정하고자 할때, JavaScript는 "empty slots"이라고 불리는 것을 생성해요. 이것은 실제로 `undefined`의 값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것을 보게 될거에요:
11321131

11331132
`[1, 2, 3, 7 x empty, 11]`
11341133

11351134
depending on where you run it (it's different for every browser, node, etc.)
1136-
실행 위치에 따라 달라요 (브라우저, node 등마다 달라요.)
1135+
실행 위치에 따라 달라요 (브라우저, node 등 마다 달라요.)
11371136

11381137
</p>
11391138
</details>
@@ -1177,11 +1176,11 @@ depending on where you run it (it's different for every browser, node, etc.)
11771176

11781177
---
11791178

1180-
###### 39. JavaScript의 모든 것은...
1179+
###### 39. JavaScript의 모든 것은...
11811180

11821181
- A: primitive 또는 object
11831182
- B: function 또는 object
1184-
- C: 함정 문제! objects만
1183+
- C: 함정 문제! objects만
11851184
- D: number 또는 object
11861185

11871186
<details><summary><b>정답</b></summary>
@@ -1193,7 +1192,7 @@ JavaScript는 원시형과 객체만 가지고 있어요.
11931192

11941193
원시형은 `boolean`, `null`, `undefined`, `bigint`, `number`, `string` 그리고 `symbol`이 있어요.
11951194

1196-
원시형과 객체를 구별하는 법은 원시형에는 속성이나 메소드가 없어요. 그러나 `'foo'.toUpperCase()``'FOO'`로 평가되어, `TypeError`의 결과가 되지 않아요. 문자열과 같은 원시형이 속성 또는 메소드에 접근하려고 할때, JavaScript는 래퍼 클래스 중 하나인 `String`을 사용하여 암묵적으로 감싸고, 표현식이 평가된 후 즉시 래퍼를 폐기하기 때문이에요. `null` 그리고 `undefined`를 제외한 모든 원시형은 이러한 행동을 합니다.
1195+
원시형과 객체를 구별하는 법은 원시형에는 속성이나 메소드가 없어요. 그러나 `'foo'.toUpperCase()``'FOO'`로 평가되어, `TypeError`의 결과가 되지 않아요. 문자열과 같은 원시형이 속성 또는 메소드에 접근하려고 할때, JavaScript는 래퍼 클래스 중 하나인 `String`을 사용하여 암묵적으로 감싸고, 표현식이 평가된 후 즉시 래퍼를 폐기하기 때문이에요. `null` 그리고 `undefined`를 제외한 모든 원시형은 이러한 행동을 합니다.
11971196

11981197
</p>
11991198
</details>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