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4,24 +74,29 @@ iOS개발자들에게 필요한 자료들을 정리하고 있는 중입니다.
74
74
## Swift
75
75
- struct와 class와 enum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76
76
- class의 성능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법들을 나열해보시오.
77
+ - Copy On Write는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설명하시오.
77
78
- Convinience init에 대해 설명하시오.
78
79
- Anyobject에 대해 설명하시오.
79
80
- Optional 이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80
81
- Struct 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설명하시오.
81
82
- Subscripts에 대해 설명하시오.
83
+ - String은 왜 subscript로 접근이 안되는지 설명하시오.
82
84
- instance 메서드와 class 메서드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85
+ - class 메서드와 static 메서드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83
86
- Delegate 패턴을 활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84
87
- Singleton 패턴을 활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85
88
- KVO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86
89
- Delegates와 Notification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87
90
- 멀티 쓰레드로 동작하는 앱을 작성하고 싶을 때 고려할 수 있는 방식들을 설명하시오.
88
91
- MVC 구조에 대해 블록 그림을 그리고, 각 역할과 흐름을 설명하시오.
89
92
- 프로토콜이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93
+ - Protocol Oriented Programming과 Object Oriented Programming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90
94
- Hashable이 무엇이고, Equatable을 왜 상속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91
95
- mutating 키워드에 대해 설명하시오.
92
96
- 탈출 클로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3
97
- Extension에 대해 설명하시오.
94
- - 접근 제어자의 종류엔 어떤게 있는지 설명하시오
98
+ - Extension 내부에서 함수를 override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99
+ - 접근 제어자의 종류엔 어떤게 있는지 설명하시오.
95
100
- defer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96
101
- defer가 호출되는 순서는 어떻게 되고, defer가 호출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97
102
- property wrapper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129,9 +134,14 @@ Objective-c나 rx는 회사, 팀마다 사용하는곳이 차이가있고 신입
129
134
- sink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30
135
131
136
## Rx
137
+ - 순수함수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32
138
- Reactive Programming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39
+ - RxSwift를 왜 사용하는지 설명하시오.
140
+ - RxSwift의 단점을 설명하시오.
133
141
- RxSwift에서 Hot Observable과 Cold Observable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142
+ - Subject의 종류와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134
143
- Subject와 drive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144
+ - Single, Completable, Maybe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언제 적용하면 좋을지 설명하시오.
135
145
136
146
## MRC
137
147
- ARC 대신 Manual Reference Count 방식으로 구현할 때 꼭 사용해야 하는 메서드들을 쓰고 역할을 설명하시오.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