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ay/2023/01/05/why-async #87
Replies: 7 comments 2 replies
-
면접관의 자질은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면접자로 참여하는것도 긴장되고 어렵지만, 면접관으로 참석하는 것 또한 면접자만큼 긴장되고 어렵더라구요. 면접이라는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그 시간이 매우 중요하단걸 다시 느낍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글로만 봐도 화나네요. 어디 회사인지 궁금하네요. 꼰대 문화라서 경쟁에 뒤쳐질 것만 같은 회사네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보통은 프로세스 vs 쓰레드를 물어 보던데, 질문 하신분의 답변이 궁금하네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gentlejo 저는 면접 볼 때보다 면접관 할 때가 더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kimjungwon2 회사명은 공개하지 않을께요. ㅎㅎ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pulmuone 하하.. 저도 궁금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보통은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할려고 하면, 쓰레드 숫자를 늘려서 해결하려고 하니까, 면접관이 그렇게 반응한 게 아닐까 싶습니다. 아마도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구현하는 수단 중 하나인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을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동일시해서가 아닐까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하나요? | K리그 프로그래머
“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하나요?” “쓰레드 수를 줄이려고요.”
https://jeho.page/essay/2023/01/05/why-async.html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